“객사터+미술관 융합 설계 울산만의 차별화된 건립 가능”
“객사터+미술관 융합 설계 울산만의 차별화된 건립 가능”
  • 이상길 기자
  • 승인 2018.07.08 21:4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획] 울산시립미술관 재검토 배경은?- 상)차별성 부족

새로 출범한 민선 7기 울산시가 울산시립미술관 건립과 관련해 시민여론수렴을 통한 재검토에 나서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현 시점에서 송철호 새 집행부의 재검토 결정에 대해서는 설계변경 수준일 것이라는 게 전반적인 시각인 가운데 그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이번 재검토는 송철호 새 집행부의 인수위원회인 시민소통위원회(위원장 김승석 울산대 교수)에서 먼저 결정됐다. 이후 시민소통위는 송철호 시장에 대한 보고를 통해 재검토를 건의했고, 송 시장이 받아들이면서 최종 확정됐다. 이에 본보가 시민소통위로부터 재검토 관련 자료를 입수해 분석한 결과 시립미술관 재검토 사유는 차별성과 편리성의 부족, 주변 상권 활성화 방안모색 등 3가지로 요약할 수 있었다.     -편집자 주

 

 

2010년 시작된 시립미술관 건립사업은 2011년 자문위원회를 구성하면서부터 본격화됐다. 
시는 이듬해 중구 옛 울산초등학교 부지에 건립키로 하고 2014년 울산초 이전 및 철거 공사까지 마쳤다. 
하지만 이듬해 실시된 매장문화재 시굴조사 과정에서 해당 부지에서 조선시대 울산 객사(客舍·외국사신이나 중앙에서 내려오는 관리가 묵는 숙소) 터가 발굴되면서 변곡점을 맞게 됐다. 

같은 해 7월 이뤄진 문화재청의 심의 결과는 객사 터 보존을 위해 미술관 건립 부지의 이전 요구였고, 이에 한 동안 혁신도시로의 이전안이 검토되기도 했다. 

하지만 결국 2016년 6월에서야 기존 부지가 아닌 인근 중구 북정공원과 중부도서관 부지에 짓기로 하면서 일단락됐다. 
이후 울산시립미술관은 708억원을 투입해 중구 북정동 부지 6천182㎡, 연면적 1만2천770㎡, 지하 3층, 지상 2층 규모로 짓기로 하고 최근의 재검토 결정 전까지 시공사 선정 과정 중이었다. 

문제는 이 과정에서 객사와 미술관을 융합하자는 의견이 있었다는 것. 결국 이 의견이 울산만의 차별성을 둬야 한다는 생각과 결합해 재검토를 이끌어낸 주된 요인으로 분석된다. 

다시 말해 객사 터의 원형보존을 원하는 문화재청이지만 문화재청의 요구를 수용해 미술관과 적절히 융합해 설계하면 울산만의 차별화된 미술관을 건립할 수 있다는 것이다. 

실제로 당시 신재억 울산대 건축학부 교수는 “문화재청의 결정은 객사 터의 원형보존이지 못 짓게 한 것이 아니다”며 “문화재청 결정을 설계 조건에 붙여 설계한다면 차별화된 미술관을 지을 수 있다”는 의견을 제시하기도 했다.  

아울러 당시 문화재청을 이끌었던 나선화 전 문화재청장도 “전통과 현대가 어우러져 활동을 높인다면 문화재적 가치도 높아진다”며 “문화재도 보호하고, 미술관도 지을 방안을 울산시에 건의하면 문화재위원들의 이해를 구하는 등 적극적으로 검토하겠다”고 말한 것으로 나타났다. 

객사 및 미술관의 융합건립과 관련해 구체적인 방향제시도 있었다. 
강영환 울산대 건축학부 교수는 “객사를 복원해 미술관 전시관으로, 남문루를 미술관 정문으로 활용한다면 두 마리 토끼를 잡을 수 있다”며 “지하도 충분히 활용할 수 있다. 세계에서 단 하나 뿐인 미술관이 되고, 그 자체가 역사에 남을 미술관이 될 수 있다”고 제안했었던 것으로 확인됐다. 

관련해 시민소통위원회 복지문화분과위원회 소속 한 위원은 최근 본보와의 전화통화에서 “울산시립미술관은 광역단체 가운데 마지막으로 짓는 공립미술관이다. 그런데 반구대 암각화라는 미술의 원형을 갖고 있는 울산으로서 현재 진행 중인 미술관은 특화성, 즉 차별성이 없다”고 지적했다. 

또 “특히 당시 설립 추진 과정에서 객사와 미술관을 융합해 차별화된 미술관을 건립할 수 있었는데도 그 의견은 묵살됐고, 그러한 융합 건립안에 대해 문화재청과의 협의도 부실했다”며 “객사와 미술관을 융합하면 전 세계적으로 유래가 없는 독특한 미술관 건립이 가능해질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상길 기자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