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운대 옛 철길을 걷다가
해운대 옛 철길을 걷다가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8.05.13 07:3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 년에 꼭 한 번만 만나는 친구가 있다. 자택을 여러 해 전에 대구에서 경산으로 옮겼다지만 호칭은 여전히 ‘대구 친구’다. 대학 같은 과를 나온 이 친구가 하자는 대로 지난 주말 부산의 옛 해운대역 광장에서 만났다. 친구는 바다를 끼고 있는 해운대를 유별나게 좋아한다. 이번엔 구청 앞 단골식당 ‘OO복국’의 가성비가 맘에 든다는 이유를 달았다.

가장 헐한 복국 한 그릇씩으로 속을 채운 두 친구는, 늘 그랬던 것처럼, 바닷바람을 끌어안으며 걷기로 했다. 말 많은 엘시티 공사현장을 뒤로하고 동쪽으로 향하다 걸음을 멈춘 곳은 미포마을 끝자락. 찻집 여주인도 횟집 남자주인도 거기가 끝이라고 했다. 다시 발길을 돌려 개발 붐의 흔적 뚜렷한 이 마을 심장부를 가로질러 바다를 등지며 빠져 나갔다. 걸음을 멈춘 대구 친구가 동의를 구했다. “어이, 저 길로 한 번 안 가볼래?” 친구 따라 강남 간다는 심정을 고갯짓으로 전했다. 시야에 잡힌 것은 동해남부선 폐선부지와 닳아 반질반질해진 끝 모르는 철길. ‘둘레길 조성’ 소식 요란하던 바로 그 철길이었다.

자갈 깔린 철길을 걷다 쉬다를 되풀이하며 걸었다. 기차를 토하듯 내보내 늘 궁금했던 굴속을 난생처음 걸어도 보았다. 얼마를 걸었을까? 얼굴이 따끔거려 왔다. 한 시간이 거의 다 지났을 무렵, 바닷가 마을이 불쑥 나타났다. 십 수 년 만에 다시 찾은 청사포마을. 중국인 남녀 ‘유커’(游客)들이 내뱉는 나지막한 대화의 파편들이 갯바람을 타고 큰 울림으로 다가왔다.

더 갈수록 벌건 녹 색깔이 짙어지는 철길을 오르내리며 걷는 사이 대구 친구와 나눈 대화는 노트북을 하나 가득 채우고도 남을 정도가 됐다. 그 중에서도 윗자리를 차지한 것은 ‘영남권 신공항’이 다시 뜬다는 얘기였다. “하도 설전이 심해서 공부 좀 했지. 나도 대구 사람이지만 대구시가 ‘밀양 신공항’에 손들어준 건 도저히 이해가 안 가. 산을 몇 개나 깎아내고 분지에다 공항을 짓는다는 건 말도 안 돼. 김해국제공항은 비좁고 시끄럽고. 인천국제공항이 들어선 영종도보다는 못해도 바다를 끼고 있는 부산 가덕도가 국제공항 입지로는 제일 낫지. 국가의 장래를 멀리 내다보는 혜안이 있어야지, 당장의 정치적 이해득실로 결정할 문제가 아니지. 안 그러나? 울산 친구야.”

그러나 필자는 아직, 영남권 신공항의 입지로 어디가 최적지인지 자신 있게 말할 계제는 못 된다. 대구 친구에게 보란 듯이 반론 제기할 처지도 못 된다. 어쩌면 인터넷 공부를 대구 친구만큼 많이 못해서인지 모른다. 다만, 이 문제를 둘러싼 뜨거운 설전이 부산시장 여야 후보 사이에 다시 불붙는다는 사실만 확실히 알 뿐이다. 창고 깊숙이 묻어두었던 영남권 신공항 문제를 이 시점에 다시 끄집어내는 이유가 있다. 울산시민에게도 직·간접적 영향을 미칠 중대 사안이기 때문이다.

대구 친구를 배웅하고 울산행 시외버스 좌석에 파묻히는 순간 갑자기 머리가 어지러워졌다. 머리도 식힐 겸 휴대전화를 꺼내 포털사이트 검색에 들어갔다. 기사 제목들은 금세 열기를 느끼게 했다.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 공방…부산표심 어디로 가나?> <오거돈-서병수, 이번 주말께 찬반 끝장토론>…. 부산시장 예비후보 가운데 ‘가덕도 신공항 재추진론’에 점화한 이는 오거돈 전 해수부장관(민주당)이고 ‘김해 신공항 확장안’을 고수하는 이는 서병수 현 부산시장(한국당)이다.

끝장토론 제안자가 서 후보라고 밝힌 5월 8일자 기사는 이렇게 이어지고 있었다. “토론은 이르면 이번 주말께 진행될 것으로 보인다. 부산지역 정가에서는 이번 토론이 표심을 가르는 주요 분수령 중 하나가 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신공항 문제가 부산시민의 생활과 밀접하게 관련돼 있고 부산의 미래 발전과도 맞닿아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현재 김해공항은 벌써 수용 한계를 넘어설 정도로 북새통을 이루고 있다.”

김정주 논설실장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