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원생활의 꿈, 함께하는 농촌커뮤니티
전원생활의 꿈, 함께하는 농촌커뮤니티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8.03.07 22:4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1970년대 울산의 산업성장기부터 유입된 많은 베이비붐 세대는 농촌의 전원적 생활에 향수가 있는 계층으로 그들 중 많은 사람들이 은퇴 후 시골에서 살고 싶다고 생각한다. 주거밀집지역과 가까운 지역에 전원 형태의 교외지역이 넓게 분포한 울산은 이러한 농촌마을에 거주하기를 원하는 사람들의 이주가능 지역이 되고 있어 귀농귀촌인을 위한 전원형 주거지역으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그러나 전원생활에 대한 수요가 실제로 생겨 주거 이동이 이루어지려면 농업으로 경제적 기반을 닦고, 주택을 구입 또는 임차하고, 사회적 활동범위를 변경하는 등 많은 부분이 고려되어야 한다. 또한 농촌사회에 잘 정착하려면 농업생산 활동을 위한 준비뿐만 아니라 도시와 다른 농촌 커뮤니티에 제대로 뿌리내리려고 애쓰는 노력이 필요하다. 귀농귀촌 인구가 꾸준히 증가하는 가운데 한편으로 역(逆)귀농귀촌 인구가 나타나는 것을 보면, 전원생활에 대한 향수만으로는 농촌지역에 정착하기가 쉽지 않음을 뜻한다.

한편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은 도시민의 전원에 대한 수요에 대응하는 의미뿐 아니라 소멸 위기에 놓인 교외 농촌지역의 지속가능성 측면에서도 중요하다. 울산의 교외지역 또한 인구가 꾸준히 감소하고 있으므로 귀농귀촌 인구의 유입 정책을 통해 지역 커뮤니티를 지속시켜 나가는 것이 필요하다.

귀농귀촌 실태조사 결과에 따르면 비교적 젊은 계층이 귀농귀촌을 하는 이유는 농업에 대한 발전가능성 등 경제적 요인이 크며, 나이가 많아질수록 경제적 요인보다 양호한 자연환경에 대한 수요나 고향으로 돌아가고자 하는 심적 요인이 큰 것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앞으로는 농촌생활 경험이 없는 계층이 점차 늘어날 전망이므로, 귀농귀촌 활성화 정책은 단순히 전원적 환경을 확보하는 데 그치지 않고 한층 더 다양해져야 한다.

통계청 조사결과를 보면, 귀농귀촌인의 가구구성은 1인가구가 가장 많다. 그러나 실태조사에서는 귀농귀촌이 부부 등 가족형태로 이주할 때 계속 유지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토박이 주민과 교류가 많을수록 지역에 정착하는 비중이 높게 나타나고, 주택을 신축하거나 구입하고 농지를 확보한 경우에도 귀농귀촌을 유지하는 비율이 높았다. 이는 귀농귀촌 초기에 물리적 여건을 갖추고, 가족들 사이에 귀농귀촌 생활에 대한 이해와 협력이 있을 때, 또한 지역사회에 잘 융화되어 농촌 커뮤니티를 이해하고 참여할 때 귀농귀촌이 성공할 확률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귀농귀촌 초기단계에 농업적 기반의 경제활동에 대해 지원하고, 가족이 정착하는 데 필요한 교육·의료·문화·복지 등의 정주환경을 조성하며, 기존 커뮤니티와 잘 어울리도록 공동체 기능을 강화하는 경우라야 귀농귀촌이 성공하고 농촌사회도 계속 유지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지금의 귀농귀촌인 지원사업은 농업기술 교육, 농업 기반 지원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한 거주지를 옮겨 산다는 것은 단순히 농업에 종사하는 것을 넘어 농업에 기반을 둔 기존의 커뮤니티에 융화되는 것을 뜻한다. 그러므로 귀농귀촌 이후 지역사회에서 잘 정착할 수 있도록 정주환경을 마련하고, 공동체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일이 필요하다. 단순히 전원생활에 향수를 느껴 귀농귀촌에 관심을 가질 것이 아니라 도시와는 다른 장점을 가진 다양성의 측면에서 농촌지역의 거주지와 커뮤니티 형성에 관심을 가질 필요가 있다. 농촌지역을 지속적으로 유지하는 것은 이를 통해서만 가능할 것이다.

전원생활에 대한 동경으로 시작되는 귀농귀촌인의 이주와 정착은 소멸 위기에 처한 울산 교외지역의 커뮤니티를 지속시킬 수 있는 대안이 될 수 있다. 하지만 그들이 제대로 정착하고 농촌사회를 지속시키려면 귀농귀촌을 준비하는 단계에서 기존 커뮤니티와 융화를 이루는 단계까지 다양한 분야에서 지속적으로 관리·지원하고, 정주환경을 조성해야 할 것이다.

이주영 울산발전연구원 정책연구실 도시공간팀 연구위원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