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 내년 국비 2조1천219억 확보
울산시, 내년 국비 2조1천219억 확보
  • 박선열 기자
  • 승인 2017.12.06 23:1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4차 산업혁명·안전도시 등 신성장 동력 예산 대폭 반영
-민선6기 4년연속 2조원시대 열어

-시-국회의원들 국비확보 힘 결집

-신규사업 86개 835억원 역대최대

-상임위·예결위 감액된 사업 없어

울산시가 내년도 국가예산 2조1천219억원을 확보해 4년 연속 국가예산 2조원 시대를 이어가게 되면서 주력산업의 고도화, 일자리 창출 등 미래 신성장 기반 구축사업을 지속해 추진할 수 있게 됐다.

울산시는 2018년 국가예산으로 2조1천219억원을 확보했다고 6일 밝혔다.

이는 2015년 첫 2조1447억원을 시작으로 2016년 2조3103억원, 2017년 2조5074억원 등 4년 연속 2조원대 정부예산을 확보하는 성과를 달성한 것으로 시와 지역 정치권이 합심한 결과다.

시의 내년도 정부예산 특징을 보면 민선 6기 4년 연속 2조원대 예산, 미래성장을 위한 연구개발 및 기반구축사업예산 대거 확보, 역대 최대 신규사업 반영 등 실속 있는 예산을 따냈다는 평가다.

신규사업의 경우 정부 예산반영 억제방침에도 86개 사업 835억원이 반영됐다. 사업건수와 예산액에서 역대 최대규모이다.

올해 정부예산 최종 확보액이 전년 대비 감소한 것은 중앙정부가 복지예산을 대폭 늘리면서 SOC사업(도로 등 사회간접자본)으로 자연감소되는 부분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때문이다.

그러나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선제적 대비, 주력산업 고도화, 안전도시 건설 등과 관련된 국고보조사업은 오히려 지난해보다 2천942억원 증액됐다.

국회 예산심의 단계에서 울산시의 예산증액은 실질적으로 어려울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했지만 상임위와 예결위에서 감액사업은 단 한 건도 없었다.

오히려 803억원이 증액되는 기대 이상의 성과를 달성했다.

특히 △함양~울산 고속도로 건설 400억원 △국도7호선(웅상~무거) 건설 100억원 △국도7호선(청량~옥동) 단절구간 연결공사 30억원 △상개~매암 간 도로개설 30억원 등을 증액해 당초 정부안에서 줄어든 울산지역 SOC예산을 일부 만회했다.

이 밖에 △한국산업인력공단 HRD교육훈련센터 건립(3억원) △국립산업기술박물관 건립 용역비(3억원) △울산신항 어업피해보상비(62억원) △울산신항 동방파제보강공사(10억원) △울산항 항만시설물 내진보강(10억원) △에너지융합엔지니어링설계지원센터 구축(3억원) 등도 신규로 확보했다.

분야별 내년도 정부예산 확보내용은 산업·R&D·에너지 분야 4천83억원, 일자리창출 분야 291억원, 문화·체육·관광 분야 228억원, 안전·환경 분야 1천85억원, 보건·복지 분야 5천596억원, SOC 분야 9천769억원을 확보해 SOC 분야를 제외한 모든 분야 예산액이 전년보다 늘어났다.

새정부의 SOC예산 삭감기조에 따라 국가예산 확보에 어려움이 있었음에도 울산시가 4년 연속 국비 2조원대를 확보한 것은 '길 위의 시장'으로 불리는 김기현 시장과 관련 공무원, 지역 정치권의 노력이 어우러진 결과로 보인다.

먼저 김 시장은 올해 국회와 중앙부처를 50여회 이상 방문해 150여명의 주요 인사를 만나 국비 지원을 호소했다.

울산시 행정·경제 부시장, 실·국장 등 관련 공무원 400여 명도 한 달 평균 10회 이상 출장하며 지역 현안의 국비 확보를 위해 노력했다.

시 예산담당관실의 경우 국회의 예산안 심사가 시작된 지난달 1일 국회 상주팀을 운영하면서 심사동향에 대한 정보와 전략을 실시간으로 공유·협의하는 소통체계를 구축해 한 발 빠른 정보제공이 가능했다는 후문이다.

특히 울산은 국회의원이 6명으로 타 지역보다 적지만 이채익, 박맹우, 김종훈, 윤종오 의원 등 상임위 소속 의원들은 상임위를 통해 정갑윤, 강길부 등 예결특위 위원들은 예결위 단계에서 울산의 숙원 해결을 위한 국비 증액을 주도했다고 시는 밝혔다.

울산시 관계자는 “새정부의 SOC예산 삭감기조에 따라 예산확보에 어려움이 있었지만 시와 지역 정치권의 노력이 빛을 발휘해 2조원대의 예산을 확보했다”고 말했다.

박선열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