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 안전투명성 강화·방사선 피폭 최소화
울산, 안전투명성 강화·방사선 피폭 최소화
  • 박선열 기자
  • 승인 2017.11.19 20: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 원전안전도시 구현 중장기 계획 수립 최종보고회
▲ 울산시는 지난 17일 시청 국제회의실에서 정진택 시민안전실장 주재로 '원전 안전도시 구현 종합계획' 수립 연구 용역 최종 보고회를 개최했다. 장태준 기자
울산지역의 특성을 고려한 방사능 방재대책과 원전안전 클러스터 구축 등을 골자로 한 다양한 원전안전 중장기 대책 수립을 위한 용역 보고서가 나왔다.

울산시는 지난 17일 정진택 시민안전실장 주재로 ‘원전 안전도시 구현 종합계획’ 수립 연구 용역 최종 보고회를 갖고 이날 보고된 내용을 기초로 종합적인 원전안전 대책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울산시는 지난해 12월 신고리 3호기 본격가동, 2018년 신고리 4호기 가동, 방사능 방재기관 유치 추진 등 울산지역의 원자력 분야 많은 환경변화에 따라 원전 가동에 따른 경제성과 주민 안전성을 동시에 충족시킬 광역시 차원의 다양한 원전안전 대책 마련을 위해 용역을 추진했다.

울산과학기술원을 용역기관으로 지난 5월 착수해 이날 최종 보고된 ‘원전 안전도시 구현 종합계획’에는 2018년부터 2022년까지 5년을 목표연도로 △울산시 원전 환경분석 △지역방사능방재계획 검토 △방사능방재 교육·훈련 시행방안 강구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확대에 따른 주민보호 장비·물품 확충·운영방안 강구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투명성 강화 △지진 등 재난대비 및 방사능 비상대응체계의 실효성 제고 △원자력안전 클러스터 구축 등 인프라 확충 △방사선 이용 피폭 최소화를 위한 안전조치 △종합계획 추진(2018~2022) 소요재원 분석 등이 담겼다.

UNIST 김희령 교수는 먼저 울산시 원전환경분석 보고에서 영구 정지된 고리1호기를 포함해 울산시는 13개 원전이 밀집한 지역이며, ‘원자력시설 등의 방호 및 방사능 방재대책법’ 개정에 따라 고리·신고리원전과 월성원전에 둘러싸인 울산은 지난 2015년 방사선비상계획구역이 30㎞까지로 확대되면서 인구 대부분이 방사선 방호 환경에 들어가게 됐다고 밝혔다.

따라서 울산시를 각 구역으로 나눠 구역에 따른 대피 시나리오 구축 등의 대책 마련의 필요성을 제시했다.

‘지역방사능방재계획 검토’에서 원전 재난 비상대응 사례 조사에 따른 비상대응체제 구축안 수립과 관련해서는 원자력안전위원회에서 방사능재난 현장대응 활동을 분담해 이행할 경우 사고 현장의 정보를 더욱 빠른 시간내 획득해 지역방사능방재 대책계획의 이행이 크게 수월해질 것으로 예상했다.

‘방사능방재 교육·훈련 시행방안 강구’와 관련해서는 방재교육이 필요한 주민들은 각각의 연령대, 지식수준, 거주 장소 등 다양한 차이가 있어 크게 거주지역과 연령대를 구분해 대상을 나누고 교육콘텐츠, 교육장소, 접근 방법 등 세부사항을 차별화한 대상별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을 제작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 주민들의 참여의 질을 높이기 위해 시행하는 교육에서 주민들의 요구사항을 반영하는 것이 중요하며, 전반적인 실태조사를 통해 교육에 참여하지 않은 주민들의 의사를 반영할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울산시는 ‘방사선비상계획구역 확대에 따른 주민보호 장비·물품 확충·운영방안 강구’와 관련해서는현재 갑상선방호약품은 280만정을 비축하고 있으며, 이는 갑상선비상계획구역 내에 거주 중인 시민 1인이 2정씩 소비하는 것으로 기준을 세웠을 때 20% 정도 여유가 있는 분량이라고 밝혔다.

방재 물품 및 장비, 방호장구 등의 운영안 도출에서는 2015년 5월부터 방사산비상계획구역이 원전시설로부터 반경 30㎞ 이내까지 확대됨에 따라 주민보호를 위한 방호물품을 추가적으로 확충해야할 필요성이 증가돼 주민 보호용 방호장구나 약품 등의 방호물자는 원자력안전위원회 등 국가의 정책방향을 지향할 수 있도록 신축적으로 대응할 필요성이 있다고 했다.

원자력 및 방사선 안전관리에 대한 투명성 강화에도 중점을 뒀다.

다수의 원전 밀집지역인 울산시의 특성에 따라 울주군 주도의 방사능안전정보공개센터 운영이 필요하고, 생활주변방사선 정보의 실시간 확인이 필수적인 요소임이 강조됐다.

원전사고 대비 및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내 주민 보호 조치 필요성과 관련해서는 고리원전 반경 20㎞ 이내 인구 170만명의 대피 시간은 5~22시간 정도 걸릴 것이라는 연구결과가 있어 울산의 경우 원전 주변 인구밀도가 높은 것을 감안하면 사실상 불가능한 대피 혹은 보호조치가 될 가능성이 높아 구체적인 대피 시나리오의 확립을 통한 재난 방지가 필요하다고 밝혔다.

방사능 방재 시설 및 구호 물품 확충과 관련해서는 ‘주민보호 시설·물품의 주기적인 수량 및 성능 점검’, ‘방사선 비상계획구역 내 인원을 고려한 갑상선방호약푹 확충 및 관리’, ‘방사능 재난대비 권역별 비축창고 구축·개선’, ‘광역차원 방사능 장재 장비물자 통합 거점창고 구축 및 실용화’ 등의 내용도 담겼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연구용역 결과를 향후 울산시가 원전안전분야 대책을 종합적으로 반영하기 위한 기본 자료로 활용해 다양한 시민안전대책을 추진하고 원전으로부터 안전한 시민보호를 위해 최선의 노력을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특히, 방사능재난대응 컨트롤타워인 방사능방재지휘센터가 지역 내에 없어서 그 동안 울산지역 방사능재난 대응에 취약하였으나, 울산시에서 중앙부처 및 국회 등을 방문하여 끈질긴 설득 등으로 새울원전 방사능방재지휘센터를 유치함으로써 시민들의 원전안전 기대에 부응한 것은 올해 울산시정의 주요성과 가운데서도 손꼽을만한 것으로 평가된다.

박선열 기자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