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성수 칼럼] 평양기생 김농주, 그리고…
[김성수 칼럼] 평양기생 김농주, 그리고…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7.10.23 22: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필자는 어릴 때 여름성경학교 연극에서 토끼 역으로 분장해 춤을 춘 것이 춤과의 첫 인연이었다. 춤에 대한 끼는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DNA 때문인지도 모른다. 증조부와 선친께선 양산학춤을 추셨다.

1960년대 부산 온천동 새시장에는 ‘성계자 무용학원’이 있었다. 두 살 아래 여동생과 시간만 나면 구경을 다녔다. 당시 학원은 홍보효과를 노려서인지 문을 열어놓고 수업을 했는데 여동생과 필자에겐 부러움의 대상이었다. 집에 와서 흉내를 내는 것으로 만족해야 했다.

중학생이던 필자에게 간간이 춤을 가르치기 시작한 아버지는 증조부가 춤을 잘 추었고 평양기생 김농주가 고모였다는 사실을 알려주셨다. 그 후 아버지는 수업 중에 가끔씩 기생의 문화와 기예 이야기도 들려주셨다.

이를 계기로 기생에 대한 관심도 커 갔다. 중학생 때까지 ‘OO장’, ‘□□관’ 같은 요릿집이 많은 온천동에서 살았다. 기생인 중학교 친구 누나가 낮에 춤과 가야금 연습하는 것을 곁에서 한참 구경하기도 했고, 기생이 된 같은 동네의 초등학교 친구를 따라 저녁이면 요릿집을 들락거린 적도 있었다.

지난 20일, 제16회 ‘전화앵제’가 울주군 두서면 활천리 전화앵묘 광장에서 열렸다. 전화앵제는 2002년에 필자가 처음으로 개최한 이후 9회를 치르고 그 뒤 10회부터는 울주문화원에서 넘겨받아 현재에 이르고 있다.

처음에는 오해도 많았다. 필자는 기생문화에 관심이 있었기에 전화앵제를 뿌리 내리게 하는 데 성공했다. 그 이면에는 평양기생 출신 고모 김농주가 한 몫을 했다.

김농주(金弄珠)는 이름난 평양기생이었다. 다양한 자료 중에서 하나를 소개한다. “남보라색 치마와 흰 저고리를 입고 숄을 걸친 기생 김농주. 얇게 비치는 숄의 끝에 달린 장식이 여성스러움과 성숙함을 표현해준다. 앞이마를 살짝 덮는 헤어스타일. 하얗게 표현된 피부와 볼 터치. 입술을 붉게 하는 것이 당시 유행하는 화장법이다.”(국립민속박물관『엽서 속의 기생 읽기』. 박민일 기증 특별전. 2008.6.18.)

평양기생 김농주는 필자의 고모가 되었다. “1948년 어머니 환갑날. 잔치를 이끈 예기 3명이 그날의 ‘폭탄’이었다. 김농주를 비롯해 고수길 권번 원장의 쌍둥이 딸인 고채봉·채숙의 공연. 잔치 후 김농주는 어머니의 수양딸이 되어 그의 집에 살다 딸 두 명과 사는 작은 숙모 댁으로 거처를 옮겼다. 대가인 김덕명의 집에선 오랫동안 기생을 데리고 살 순 없었다. 덕명은 몇 년 만에 접한 농주 누님의 춤 때문에 또다시 열병에 빠졌다.”(경향신문. 2007.9.14. 김덕명 “혼이 안 들어가면 그기 춤이가”)

김덕명은 한량무(경상남도지정무형문화제 제3호) 보유자이자 양산학춤 계승자이며, 필자의 선친(先親)이다. “김씨도 평양 예기였던 김농주를 양누이 삼아 13세부터 양산 권번에 드나들었다. 여기서 김씨는 이주서, 고수길, 서상권으로 이어지는 춤맥을 전수받게 된다. 한량무, 교방양반춤, 교방타령무, 신라장검무, 교방진연무, 태극무 등 민속춤을 배워 둔 것도 이 시절이다.”(《전통예인 백 사람》. 현암사. 1997.)

2016년 4월 16일 사)한국예총 경주지부와 경주의 문화예술인들이 금장대 소공원에 ‘동도명기 홍도 최계옥(1778∼1822)’ 추모비를 세웠다. 추모비에는 “임의 본명은 최계옥이며 홍도는 정조대왕이 내린 별호이다.

아버지는 최명동이고 어머니는 경주 관기 출신이다. 재주와 미모가 빼어난 임은 십여 세에 시를 외며 음악을 깨쳤고 스무 살에 궁궐 상의원에 들어가 독보적인 노래와 춤으로 명성을 떨쳤다. 임은 정조대왕의 장인 박준원의 외부(外婦)가 되어 십여 년 같이 살았고, 그가 죽은 뒤 경주에 내려와 악부(樂府)의 사종(師宗)으로 후진을 양성하는 데 혼신의 힘을 다했다. 병이 깊어졌을 때 임은 모든 재산을 이웃에 나눠주고 죽으니 마흔 다섯 살이었다.”

필자는 ‘무덤의 접근은 한정이 있지만 전화앵 예술혼의 발전은 끝이 없다’는 말을 염두에 두고 전화앵제를 시작했다.

전화앵제는 《신증동국여지승람》 경주부 고적조에 바탕을 두고 있다. 하지만 과장된 픽션의 스토리텔링은 세인은 물론 문화예술인들도 멀어지게 만들 수 있다. 이제는 전화앵제에만 안주할 일이 아니다. 역사성을 지닌 전화앵에 대한 관심을 문화예술인들도 갖도록 유도해서 다각적인 활용방안을 찾아 나설 때인 것 같다. 초심을 다시 한 번 챙겼으면 하는 바람이다.

김성수 조류생태학 박사·울산학춤보존회 명예회장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