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꼬 트인 ‘대구취수장 이전 논의’
물꼬 트인 ‘대구취수장 이전 논의’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7.09.25 21: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대구시와 경북 구미시가 8년을 끌어온 ‘대구취수장 이전’ 문제가 의외로 쉽사리 풀릴 것으로 보인다. 본지가 다른 지역 지자체의 물 문제에 관심을 갖는 것은 대구취수장 이전 문제가 ‘울산권 맑은 물 공급 사업’과 전혀 무관치 않기 때문이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대구시와 구미시가 대구취수장을 구미공단 위쪽 해평취수장(낙동강 상류)으로 이전키로 합의한다면 경북 청도 운문댐을 울산의 식수원으로 삼을 수 있는 길이 생각보다 쉽게 열릴 수도 있다.

대화의 물꼬는 “좋은 시기에 구미와 대구의 지도자들과 함께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싶다”고 한 이낙연 국무총리의 13일자 국회 답변이 튼 것으로 보인다. 이 총리는 이날 비서실장을 시켜 남유진 구미시장에게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 문제로 권영진 대구시장, 김관용 경북도지사와 자리를 같이하고 싶다는 뜻을 전했다. 안 시장은 바로 다음날 김관용 지사와 장석춘 의원(경북 구미시을, 자유한국당)을 만나 이 문제를 협의했다. 이 지역의 한 유력 언론사는 이를 두고 ‘국무총리의 미팅 제안을 거절했다’며 안 시장의 태도를 비판했다. 그러나 안 시장은 25일 성명을 내고 “국무총리의 미팅 제안을 거절한 적이 없다”고 밝혔다. “어떻게든 대구취수원 구미 이전이 잘 해결되기를 바란다”는 말도 덧붙였다. 사실이라면 안 시장과 김 지사, 장 의원이 ‘대구취수원 문제의 전향적 검토’에 합의했다는 말이 된다. 또 이는 정부가 ‘모종의 인센티브’(KTX 구미역사 신설 등)를 꺼내든 게 아닌가 하는 추측을 가능케 한다.

대구시가 2009년부터 ‘취수장 낙동강 상류 이전’에 집착하는 것은 1991년의 ‘낙동강 페놀 유출 사태’와 무관치 않다. 상수원의 67%(하루 52만8천t)를 낙동강에 의존하고 있는 대구시로서는 ‘유해물질로부터 안전한 곳으로의 취수원 이전’은 한시가 급한 일이었다. 그럼에도 8년 넘게 뜻을 이루지 못한 것은 구미시의 완강한 거부 때문이었다. “민관협의회를 구성하고 2015년 3월부터 지난해 11월까지 9차례나 회의를 열었지만 입장차를 좁히지 못했다”는 보도는 이러한 과정의 한 단면을 읽게 해준다.

대구시의 취수원 중엔 하루 23만t 이상의 용수를 생산하는 청도 운문댐도 들어가 있다. 정부의 중재와 구미시의 대승적 결단으로 대구취수원의 낙동강 상류 이전이 가시화된다면 이는 운문댐이 울산 취수원으로 기능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지난해 이채익 의원(울산 남구갑)이 구미 출신 국회의원을 여러 차례 만난 것도 다 그런 이유 때문이었을 것이다. 반구대암각화 보존 문제도 동시에 걸려 있는 ‘울산권 맑은 물 사업’을 성사시키려면 타지의 예민한 움직임에도 안테나를 곧추세울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