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경 부활… 신뢰회복으로 거듭나길
해경 부활… 신뢰회복으로 거듭나길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7.07.26 20: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25일 문재인 정부의 국무회의가 정부조직법 개정안을 심의·의결함으로써 ‘해양수산부 외청’으로 독립하게 된 해양경찰청이 그 이름을 2년 8개월 만에 되찾았다. 이에 따라 해경 산하 전국 지방청과 경찰서들도 간판을 다시 고쳐 달았다. 울산지방의 경우 청사 간판이 26일부터 ‘울산해양경비안전서’ 대신 ‘울산해양경찰서’(이하 ‘울산해경’)로 바뀌었다.

울산해경 서승진 서장은 26일 오전 남구 선암동 청사 입구에서 직원들과 현판 제막식을 갖고 새로운 분위기 속에서 업무를 시작했다. 조직개편에 따라 울산해경의 해상수사정보과는 수사과와 정보과로 나뉘었고, 수사과는 수사계·형사계로, 정보과는 정보계·보안계·외사계로 재편됐다. 아울러 강동·방어진·울산항·온산·기장의 5개 ‘해양경비안전센터’는 그 명칭이 ‘파출소’로 바뀌었다. 서승진 서장은 “조직개편을 통해 바다 안전망을 더욱 촘촘하게 설치해 국민적 우려를 잠재우고 국민을 위한 강인한 해양경찰로 거듭나겠다”고 다짐했다.

하지만 간판을 고쳐 달았다고 모든 준비가 끝난 것은 아니다. 전국적 현상이겠지만, 오히려 할 일이 산더미같이 남아있는 것으로 보인다. 부산해양경찰서의 경우 ‘육경’ 인력의 복귀, 해경정비창의 확장 등 숙제가 산적해 있다며 걱정이 태산이다. 들리는 바로는 해경이 가까스로 부활되긴 했어도 2년 8개월 전 해경 해체와 함께 ‘육경’ 즉 경찰청 쪽으로 자리를 옮긴 해경 인력이 그대로 복귀할지는 불투명한 모양이다. 새 조직 적응에 따른 부담감 등을 이유로 복귀를 거부하고 있다는 전언이다.

해경이 창설 61년 만인 2014년 11월 해체된 것은 같은 해 4월 16일에 일어난 세월호 참사 때문이었다. ‘해경이 정치적 허물을 뒤집어썼다’는 지적도 없지 않지만 당시 해경이 구조 업무에 무기력했다는 비판에서 자유로울 수는 없다. 이 말은 해경에 대한 신뢰감이 세월호와 함께 해저로 가라앉았다는 얘기도 된다. 따라서 간판을 새로 갈아단 해경의 발등에 떨어진 불은 국민적 신뢰의 회복이라 해서 지나친 말이 아니다.

해경은 육경이 ‘육상 수사권’의 반납을 거부하는 이유도 새겨들을 필요가 있다. 육경은 “해양대 등 각종 인맥으로 얽힌 해경과 선박 관련 기관 사이의 비리 수사도 연고가 없는 경찰이 공정하게 수사할 수 있다”는 말로 해경의 ‘비리 연루 개연성’을 들먹이기도 한다. 따라서 강한 자존심을 바탕으로 국민적 신뢰를 서둘러 회복하는 길만이 해경이 ‘국민의 바다경찰’로 거듭나는 길이 아닐까 한다. 해경은 “육상-해상이 얽힌 사건은 경찰과 해경이 국민 편의를 먼저 생각해 공조수사를 강화해야 한다”는 전문가 조언에도 귀 기울일 필요가 있을 것이다.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