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의 날’과 울산시의 물 정책
‘물의 날’과 울산시의 물 정책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7.03.26 18:1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3월 22일은 ‘세계 물의 날’이었다. ‘세계 물의 날’은 UN 총회가 물의 소중함을 알리고 물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1992년에 지정, 선포한 날이다.

이날 울산에서도 다채로운 행사가 펼쳐졌다. 천상정수사업소는 ‘수돗물 음수 체험대’ 개통식을 가졌고, K-water 울산권관리단은 댐 상류에서 하천정화 활동을 벌였다. 특히 김기현 울산시장은 이날 범서읍 굴화수질개선사업소 근처 강에서 ‘수질 개선’을 염원하는 ‘EM(유용미생물)흙공 던지기’ 행사에 동참했다. 그래선지 이날만큼은 울산에 심각한 물 문제는 없어 보였고, 김 시장은 치수(治水)에 성공한 시장으로 비쳐졌다. 그런데도 비판의 소리가 터져 나왔다. “울산시가 선보인 기념행사는 물의 날 취지와는 동떨어진 행사였다”는 쓴 소리를 누군가가 내뱉고 만 것. 그는 “울산시가 물 부족 문제를 어떻게 해결하겠다는 메시지도 없이 ‘물이 곧 도시의 미래’라는 구호만 외치는 것 같았다”는 말을 남겼다.

그렇다고 해서 올해 ‘물의 날’ 행사가 전혀 맹탕이었다는 얘기는 아니다. 울산시의회 신성장동력연구회가 그 이틀 전(20일) 의사당 다목적실에서 마련한 ‘울산의 물산업과 물관리 정책방향 전문가 간담회’가 그나마 체면을 살렸다는 뒷얘기도 분명히 있다. 한 참석자는 간담회 분위기를 이렇게 전한다. “눈여겨볼만한 .정책제안이 나왔고, 울산시의 물 관리정책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됐다. 울산이 물 부족 도시인데도 수요관리와 맑은 물 공급을 위한 울산시 자체의 중·장기정책 개발이 그동안 부족했음을 확인하는 자리였다.”

이날 간담회는 크게 3가지 주제로 나눠 진행됐다. ‘울산의 생활용수 수요관리 정책’, ‘울산의 생활용수 수자원 확보 정책’, ‘신성장동력으로서의 물산업 현황과 전망’이 그것. 첫 번째 주제의 한 가닥을 책임진 이달희 교수(울산대 정책대학원)는 “울산 물 문제의 핵심은 앞으로 물이 얼마나 필요하고 어떻게 확보하느냐이다”면서, 울산시가 산정한 ‘하루 평균 생활용수 수요량’이 현실과는 거리가 먼 점을 지적했다. 산정기준이 되는 울산인구의 전망치를 ‘2020년 135만명’으로 잡은 것은 1년에 3만명씩의 증가(3년에 15만명 증가)를 가정한 것으로 지극히 비현실적이라며 현실에 맞게 조정할 것을 주문한 것이다.

이날 간담회 참석자들은 물 부족 해결 정책의 우선순위를 ‘물 절약’에 두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 간담회에서 쏟아져 나온 의견들을 간추리면 대략 다음과 같다. “다른 광역시의 2배 가까운 누수율(7%)을 더 낮추고 유수율을 확 끌어올려 물 낭비를 최소화해야 한다.” “울산시민 한 사람이 사용하는 물을 10%만 절약해도 낙동강 물 없이 자체수원으로 용수를 충족할 수 있다.” “변기를 절수형으로 바꾸기만 해도 물 사용량을 절반으로 줄일 수 있고 절수설비는 변기, 수도꼭지, 샤워기 등 다양하다.” “가장 현실적인 물 부족 해결 방안은 울산시가 의지를 갖고 필요한 예산을 투입하는 것이다.”

‘울산의 생활용수 수자원 확보 정책’ 토론에서는 맑은 물 확보 방안들이 다양하게 논의됐다. 박창근 대한하천학회회장이 현장조사와 연구·분석을 통해 제안한 사연리 주변 지하댐 건설제안도 그 중 하나. 박 회장은 3만∼5만t 용량의 지하댐을 건설하면 경제성도 충분하다는 주장을 폈다. 이 자리에서는 해수(海水)담수화 사업을 통한 물 확보 방안도 제시됐다. 몇 년 전 물값 상승이 없는 BTO방식의 해수담수화 사업을 울산시가 검토하다가 슬그머니 접은 사실도 이날 토론 과정에서 드러났다. 운문댐 물을 못 가져오게 될까봐 걱정이 돼서 그랬다니 웃어야 할지 어쩔지, 알다가도 모를 일이다.

차제에 울산시에 묻고 싶다. 이날 간담회에서 제안된 다양한 정책제안들을 꼼꼼히 검토해서 현실화시킬 의향은 없는지? 시의회에는 이런 당부를 하고 싶다. 맑은 물 확보를 위한 다양한 정책들이 계속 발굴될 수 있도록 전문가들과 함께하는 자리를 자주 좀 열자고.

<김정주 논설실장>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