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노조에 보내는 조언(助言)
현대차 노조에 보내는 조언(助言)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08.09.07 20: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차 노조원들에 대한 지역 저변의 여론이 실망에서 조소, 힐난으로 변해가고 있다. 어렵사리 일궈 낸 노사 잠정합의안이 최근 조합원 찬·반 투표에서 부결된 후 ‘배가 불러서’란 극단적 표현까지 사용하는 사람들이 많아졌다. 다른 한편에선 ‘현대차 불매(不買)’운운하는 주장마저 나오고 있는 상황이다.

국민, 지역민들이 현대차 노조원들에 대해 이런 부정적 시각을 갖게 된 원인은 그 내부에 있다.

작금의 현대차 노조원 행태는 그 정도(程度)를 넘었다고 봐야한다. 사측이 제시한 ‘8+9’ 주간연속2교대제, 임금 인상폭, 성과급 300%와 격려금 300만원 지급을 거부한 ‘귀족 노조원들’의 자세를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노조 집행부가 분석·판단해, 근접한 안(案)을 도출한 만큼 나름의 합리성, 타당성을 갖췄다고 보는 것이 옳다. 이에 대해 조합원들이 참가자 대비 61% 반대로 결말지은 것은 집행부에 대한 불신이거나 개인 이익에 집착하는 것 중 하나로 볼 수밖에 없다.

이번 잠정 합의안이 부결된 이면에는 타 기업과의 형평성 논란도 제기됐던 모양이다. 비교 대상으로 삼는 모 기업은 ‘11년 노사 무분규’를 기록해 생산차질로 인한 손실이 전혀 없는 곳이다.

현대차는 작년에 ‘무분규 1년차’를 기록했을 뿐 2년도 채우지 못한 채 노사협상에만 1백여일 이상을 허비했다. 이에 따른 생산 차질 액만 수백억 원에 이른다. 이런 상황에서 현대차 노조원들이 타 기업과의 형평성을 이유로 임단협 잠정합의안을 거부한 것은 논리에 맞지 않다.

현대차 노조원들이 지역사회로부터 외면당하고 있는 또 다른 이유는 ‘인간관계’를 무시하고 있기 때문이다.

울산 지역민들이 지금껏 현대차 노조를 지지, 성원했던 것은 노조 자체가 위대해서가 아니다. 그 조직에 속해 있는 근로자들의 이익이 지역경제 활성화에 큰 몫을 차지하고 있음에서다. 어려운 지역 경제상황에서 ‘현대차 임단협 타결’이 가져다 줄 내수 경기에 많은 기대를 걸었던 유통업체, 재래시장은 큰 타격을 입게 됐다. 현대차 근로자들도 결국 이 지역에 근거하며 생활하는 구성원 아닌가. 어려운 이웃과 동고동락할 줄 모르는 구성원이라면 그들이 곤경에 처했을 때 구태여 도와줄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는 것이다.

그동안 일관되게 건의, 호소해왔던 지역 행정기관, 여론, 언론의 조언을 무시한 것도 잘못이다. 지역의 정서를 전달하고 사리판단에 보탬이 되고자 했던 많은 저널리스트들은 현대차 노조원들의 입장 또한 이해하고 전달하려고 노력해 왔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 접점에서 지역언론은 현대차 노사갈등이 지역경제에 미치는 현실을 조명하며 이를 수차례 보도하고 ‘자중할 것’을 요청했지만 ‘조합원 개인’의 이익은 이런 조언을 묵살했다.

이제 현대차 노조원들은 자신들의 행동에 대해 ‘혼자’ 책임져야 하는 상황을 만들고 말았다. 외부로 부터의 지지, 성원, 협조보다 자신들의 이익을 우선시 하는 단체임을 스스로 공표했기 때문이다.

이런 ‘단절’을 느끼는 순간에도 현대차 노조 조합원들이 명심해야 할 것이 하나 있다. 상여금, 격려금은 고사하고 체불임금도 지급 받지 못해 ‘추석명절 고향길’을 단념한 협력업체 근로자, 비정규직 종사자들이 수두룩하다는 사실이다. 현대차 노조원 내부에서도 작금의 상황을 비난하는 여론이 상당수 있다. 명절을 맞아 즐겁고, 풍요롭게 휴일을 즐기고자 하는 것은 현대차 근로자들도 마찬가지다.

행여 그들이 일부 이념조직이나 동조세력의 분위기에 눌려 ‘평상의 행복’을 탈취당하는 ‘사건’이 있어선 절대 안 된다. 결국 이 모든 것을 해결할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추석 전 임단협안 타결뿐인 것이다.

/ 정종식 논설위원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