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론의 분석
여론의 분석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5.11.03 22: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여론조사를 한자로 잘못 표기하면 與論調査, 여당 쪽의 논조(論調)를 조사하는 것이 된다. 비슷한 한자 ‘輿’論調査라고 해야 사회, 국가의 일반 대중에게 여러 가지 방법으로 의견을 조사하는 것이 된다. 이때 조사하는 대상과 방법을 명확히 해두어야 불필요한 오해를 일으키지 않는다. 결론부터 말하면, 여론조사 결과는 항상 변하게 되어 있으므로 그렇게 믿을만한 것이 못되는, 조심해야 하는 남들의 의견이라는 것이다. 덩달아 따라가서는 안 되는 것이다. 더구나 조사결과를 마음대로 해석하고, 즉, 기대하지 않은 결과가 나오면 응답자의 본심은 이것이 아니라는 막무가내의 무식한 행동을 하는 것이고, 아주 결정적인 문제는 최근에 들어서 나이 좀 든 사람들은 이해도 못할 결과를 이끌어내는 꼼수를 여론조사과정에 슬쩍 끼우고, 시치미 떼는 일이다. 신(神)만 알 수 있는 조사결과 자체를 아무도 모르게 묵살하고서 신(神)이 되어버리는 것이다.

여론조사를 영어로 a survey of public opinion이라고 하며, 달리 쓰면 public opinion poll이라고도 하는데 투표의 의미를 강조하는 경우에 쓴다. poll의 어원에서 사람의 머릿수를 따지는 것을 빌어 와 몇 사람이 찬성 또는 반대했는지가 자동적으로 머리에 떠오르도록 한다. 이 일에는 함정이 있다. 잔머리를 굴려 찬성여론을 원하면 찬성하는 지문을 응답지의 1번에, 그리고 짧게 하는 것이다. 반대를 원하면 역시 응답지 1번에, 그리고 짧게 하는 것이다. 이와는 반대로, 반대를 원하지 않으면 질문의 끝에, 당연히 왜 반대하는지 따지고 들며 길어지게 하여 무응답 처리가 되도록 유도하는 것이다. 간단히 말해, 누가 내 질문, 특히 정치꾼 국회의원에 관한 질문을 기다리고 있다가 심사숙고하여 기꺼이 답하겠는가를 간파하고 응답유도작전을 펼치는 것이다. 이런 일은 제갈공명이 흠모하는 장량(한국 강릉지방의 설화에는 강릉 사람으로 나옴)이 여홍성(黎洪星) 창해역사(滄海力士, 강릉사람으로 전해짐)를 데리고 와서 전산실을 철퇴로 부수어도 바로 잡을 수 없는 일이다. 근본적으로 꼼수를 부리는 저들 족속(族屬)들에는 여론 조사가 필요 없고, 해서는 안 될 일이어서 삼가해야 할 말로 ‘혁명’밖에 없다. 어떤 혁명일까? 내년 국회의원 총선거에서 국민의 현명한 판단으로 국가의 미래를 결정해주는 민주적인 방법이 현재로서는 최선의 것이다. 여기에는 차선(次善)이 없다.

여론 조사가 이렇게 문제가 많아도 없는 것보다는 있는 것이 참고한다는 의미에서 나으니까 하기는 해야 할 텐데 무엇은 하고, 무엇은 해서는 안 되는지 몇 가지만 살펴본다. 우선은 정치꾼들의 인기정도를 여론조사로 알아보는 것에는 무리가 있다. 상상도 못할 오염이 들어가기 때문이다. 그러나 사형제도 폐지에 관해서는 시대가 흘러가는 추세에 맞춰 변명거리를 찾기 위해서라도 해보아 나쁠 것은 없다. 그러나 지금의 국정교과서 문제를 여론조사를 통해 여론조사가 대단한 기준이 되는 것처럼 억지를 부리는 문재인 변호사는 정말 문제가 있다. 그가 옥중에서 사법시험에 합격했으나 법관 임용이 거부되어 판사경험이 없으니 변호경험만 물어본다. 교육의 문제를 변호하면서 여론으로 변호한 일이 있는가? 천부당만부당한 일이다. 교육을 여론으로 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지금 전교조에 속한 일부 교사들이 국정화를 ‘자기들 입맛에 맞는 일과 논조’로 국정화를 반대하고 있을 때, ‘아버지가 돈도 벌어오지 못하고, 엄마에게 손찌검을 한다고 자식들이 투표로 아버지 자격을 결정할 것인가?’라고 지도해야 할 위치에 있는 사람이 당 대표 문재인이다.

선택의 등가성(等價性)이 있을 때, 여론을 알아보는 것이다. 더구나 그 결과도 신뢰수준 3.1% 수준 어쩌고저쩌고 하며 통계학 전공자나 이해할 용어를 쓰면 안 된다. 오히려 어느 지역, 몇 시쯤에 수집한 자료분석이고, 꼭 여론조사 무응답자 비율을 밝혀야 한다.

<박해룡 철학박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