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노조의 이해할 수 없는 두 가지
현대차노조의 이해할 수 없는 두 가지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5.09.24 2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현대차 노사가 추석 전 타결을 목표로 지난 22일 2015년 임단협 막판 집중교섭을 벌였지만 잠정합의에 실패하면서 교섭 장기화가 불가피해졌다. 4개월에 걸쳐 총 28차례나 교섭을 벌였지만, 남은 건 교섭 파행과 파업돌입 뿐이다. 임기 내 협상을 마무리짓지 못한 집행부라는 오점도 함께 남겼다. 노조집행부의 임기가 이달 말로 종료됨에 따라 교섭재개는 새 집행부가 구성되고 대의원선거가 마무리되는 12월께나 이뤄질 전망이다. 그동안 노심초사 현대차 교섭을 지켜봤던 관계사 임직원 등 관계자와 수많은 울산시민들로부터 안타까움과 비난의 목소리가 나오는 것도 어쩌면 당연한 결과인지도 모르겠다.

현대차 노사는 지난 22일 막판 잠정합의를 시도했지만, 핵심 쟁점사안인 통상임금과 임금피크제 확대에 대한 서로의 입장차를 좁히지 못하고 결국 차기집행부로 넘기게 됐다. 통상임금 문제는 대표소송에서 노조가 패소한 사안이다. 그런데도 노조는 연월차수당을 법정금액보다 30%많은 130%를 지급해줄 것을 요구했고 회사는 원칙을 고수하면서 끝내 서로의 의견차를 좁히지 못했다. 현대차 관계자는 “노조가 통상임금 확대 소송을 제기한 청구취지는 오간데 없고 임금인상의 기회로만 삼고 있다” 며 “회사는 통상임금에 관해서는 법적으로도 노조에 임금을 지급할 아무런 의무가 없다”고 밝혔다.

임금피크제도 교섭중단의 또 하나의 원인이 된 핵심쟁점이었다. 회사는 청년고용 확대 및 고용안정에 대한 사회적 요구에 적극 부응하기 위해 임금피크제를 확대하자고 노조에 제안했지만, 노조는 임금피크제 확대에 따른 임금손실분 보존 없이는 절대 수용불가하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그러나 회사는 “명실상부한 임금피크제가 되어야 하며 변칙적으로 임금손실분을 보조하는 형태의 임금피크제 도입은 아무런 의미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 역시 끊임없는 공방을 벌였지만, 결국 간극을 좁히지 못했다.

서론이 길었다. 현대차 노조의 입장을 전혀 이해 못하는 바는 아니지만, 그래도 이해 안 되는 두 가지를 짚어보자. 첫째 근로자 평균 연봉이 1억원에 육박하는데도 부족하다며 자신들의 요구 관철을 위해 파업을 선택했다는 점이다. ‘연봉은 세계 최고, 생산성을 세계 꼴찌’라는 오명은 아랑곳없이 말이다. 파업은 목적달성을 위한 수단이다. 그렇다면 지금 벌이고 있는 파업의 목적이 과연 무엇인지 궁금하다. 차량D/C율 확대, 정년 65세 연장, 금 추가지급, 자녀 학자금 전 자녀 확대 등 이외에도 이번 교섭에서 노조가 회사에 요구한 사항은 이루 열거할 수 없을 정도로 화려하다. 그러면서 임금피크제는 못한단다. 한술 더 떠 임금피크제 감소분 전액 보전하면서 정년퇴직자 일자리까지 보장해달라고 한다. 약자 편에 서기보다는 철저히 자기 밥그릇만 챙기는 추한 모습이 아닐 수 없다. 또 한 가지. 통상임금 확대요구도 그렇다. 노조가 엄연히 소송에서 패소했는데도 통상임금을 올려달라는 것은 누가 봐도 이치에 어긋난다. 차라리 기본급이나 여타 수당을 올려달라고 하면 이해가 될 것을 법의 판단을 넘어서는 통상임금 확대요구는 스스로 비난을 자초하는 결과만을 초래했다는 지적을 면할 수 없다.

현대차가 폭스바겐 대규모 리콜사태로 최근 극도로 부진했던 국내외 판매부진에서 벗어날 호기를 맞았는데 노조는 교섭결렬 선언과 파업강행을 선택했다. 참으로 안타까운 일이다. 그러나 한 가지만 명심해주기 바란다.

생산라인을 멈추고 울려 퍼지는 ‘투쟁가’를 반길 사람은 오진 경쟁사밖에 없다는 사실을. 그리고 파업은 가뜩이나 어려운 경영여건에서 전 협력업체와 국내외고객들에게 불편을 끼치고 우리 경제에도 큰 부담을 안길 수 있는 잘못된 선택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인식해 주길 바란다.

<이주복편집국장 >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