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복 63주년을 맞은 울산
광복 63주년을 맞은 울산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08.08.14 21:5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제의 수탈과 압제에서 벗어나 국권을 회복한지 63년이 됐다. 사람으로 치면 예순 살 즉 이순(耳順)에 도달하는 시간이 지난 셈이다. 그렇다면 우리 사회는 진정 ‘생각하는 것이 원만하며 어떤 것을 들으면 곧 이해가 되는 경륜’을 갖추고 있는가. 안타깝게도 ‘그렇치 못하다’이다. 특히 대한민국 광복 후 63년 현대사를 판에 옮겨다 놓은 듯한 울산의 과거와 현재는 그리 만족스러운 편에 속하지 못한다. 울산은 지난 5,60년대까지 농업, 어업등 1차 산업에 의존해 ‘생계를 유지’하는 상태에서 7,80년대 산업화를 통해 수출 한국의 기수가 됐다. 이와 동시에 근로자의 권익보호와 인간다운 삶을 위한 노동운동은 민주화 여정에 이정표가 됐고 이를 감싸 안은 울산은 한국 노동운동의 성지(聖地)로 발돋움 했다. 울산은 정치적으로도 반(反)독재의 최일선에 있었다. 군부독재 시절, 야당도시의 대표 주자 중 하나였으며 ‘민간인 정부’ 탄생에 크게 기여했다. 그런 희생과 노력, 인내로 현재를 일궈낸 울산사람들은 아직 생각하는 것이 원만치도 않고 어떤 것을 들어도 잘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 1백20만 광역시민들은 아직도 ‘토착인’ 과 ‘외지인’으로 분리돼 대립하는 모습을 곳곳에서 보여주고 있다. 이질적 요소들이 결합돼 있는 지역사회는 ‘기회주의, 배타주의, 황금만능주의’가 판을 치고 있고 3무(無) 즉 무도덕, 무질서, 무양심’이 정의를 압도하고 있는 상황이다. 그 뿐만 아니다. 양극화 현상에 의한 빈익빈, 부익부 현상은 날로 심화되고 ‘가진자’ 들만 기고 만장한 초 현대판 ‘자본주의’ 사회를 울산이 연출해 내고 있다. 이제 그 모든 것을 원만하게 생각하고 이해 해야 할 시기가 됐다. 인간이 인간으로써의 존재 가치를 가지는 것은 개인의 능력 때문이라기 보다 인간사회의 일원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너와나’에 구애됨이 없이 지역사회에 기여하는 것만이 최고의 미덕이 된다. 학벌, 재산, 출생지역에 관계치 않는 범 인간사회 만이 모두를 녹일 수 있고 아우를 수 있다. 예순살에 접어 든 산업수도 울산을 이제 ‘대한민국 용광로’로 승화시켜 보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