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억 들인 구포교 철거공사 부실
20억 들인 구포교 철거공사 부실
  • 김종창 기자
  • 승인 2014.10.30 20: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부산시, 감리업체 없이 준공허가… 유착관계 의혹
지난 2008년 수십억원이 투입된 낙동강 옛 구포다리(구포교) 철거공사가 부실했던 것으로 드러나 경찰이 수사에 나섰다.

이런 가운데 부산시가 감리업체도 두지 않는 등 허술하게 준공허가를 내준 것으로 드러나 사업 추진과정에서 관리기관과 업체와의 유착 의혹이 일고 있다.

1932년 낙동강에서 처음 세워진 구포다리는 2003년 태풍 ‘매미’ 때 상판 일부가 유실되고 노후화돼 2008년에 철거됐다.

30일 부산시건설안전시험사업소(이하 안전시험소)에 따르면 반출된 콘크리트 폐기물 양과 철거계획물량(7천275㎥, 1만6천730여t)을 비교하고 철거업체가 작업을 완료한 현장의 수중 사진을 바탕으로 철거작업 준공을 허가했다.

안전시험소는 2007년 12월부터 2008년 7월까지 S건설과 지역 철거업체인 J사와 상판 철거 6억원, 교각 철거 18억원 등 모두 24억원짜리 구포다리 철거계약을 체결, 강바닥을 기준으로 자른 수중교각 14개·육상교각 29개와 상판 등을 모두 걷어내는 조건으로 계약했다.

당시 S건설과 J사는 구조물에 구멍을 뚫는 코아천공, 와이어로 잘라내는 DWS공법으로 철거작업을 벌여 총 7천436㎥(1만7천100여t)의 콘크리트 건설폐기물을 반출했다.

하지만 수중사진은 탁한 물속에서 철거작업이 제대로 이뤄졌는지 전혀 가늠할 수 없을 정도였고 콘크리트 철거량이 철거계획물량과 370t가량 차이가 났다.

문제는 20억원이 넘는 공사였지만 감리업체가 없었고 최종 관리감독을 맡은 부산시의 수중 현장점검 한번 없었다는 것이다.

결국 안전시험소는 철거업체의 희미한 수중사진과 폐기물처리업체가 자체적으로 계측한 철거량만 믿고 별도의 검증 없이 준공허가를 내준 것으로 드러났다.

이에 대해 당시 담당공무원은 “구포다리 철거공사는 감리업체가 둘 만큼 큰 규모의 공사가 아니었고 비록 사진이 흐려 정확한 작업현장을 볼 수 없어도 객관적인 수치의 철거작업 물량을 믿었다”며 “철거업체와 신뢰가 없으면 공사를 진행하기 쉽지 않다”고 해명했다.

인제대 토목공학과 박재현 교수는 “철거작업이 육안으로 확인하기 쉽지 않은 물속에서 이뤄졌는데 처리물량 자료만 가지고 준공허가를 내줬다는 것은 상식밖의 행위”라며 “감리업체가 없었다는 것은 더더욱 이해할 수 없다”고 지적했다.

현재 수심 10m 의 낙동강 바닥에는 H 빔을 포함해 철골 구조물이 강바닥에 흉물스러운 철골 구조물이 여기저기 널려있다.

또 강바닥에 2m 높이로 누워있는 옛 구포다리의 교각이 물살을 막아서면서, 하류로 떠내려 온 각종 부유물들이 걸려있다.

한편 부산 북부경찰서는 구포다리(구포교)의 교각과 H빔 등 구조물이 강바닥에 여전히 방치돼 있다는 어민들 주장에 신빙성이 있다고 판단, 수사에 착수했다.

경찰은 특히 의혹이 제기된 구포다리 교각 철거과정, 철거업체와 인근 어촌계 사이의 돈거래 성격을 집중적으로 조사해 위법 행위가 있었는지 밝히기로 했다.

낙동강 구포어촌계 어민들은 그동안 어로행위 중에 그물이 찢기는 등 피해가 계속 발생하자 최근 수중촬영을 통해 강바닥에서 철거되지 않은 구포다리 교각과 H빔 등 구조물이 방치된 현장을 발견했다.

부산=김종창 기자


인기기사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