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재생사업은 주민과의 공감대 형성부터
도시재생사업은 주민과의 공감대 형성부터
  • 울산제일일보
  • 승인 2014.10.08 21: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얼마전 ‘2014 국토 도시디자인 대상’에서 서울 수성동계곡이 도시재생 컨셉으로 대통령상을 수상하였다고 해서 그 곳을 찾아봤다. 수성동계곡 복원사업은 ‘옥인시범아파트’를 철거하고 겸재 정선이 그린 ‘인왕제색도’의 경관을 회복한 사례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그러나 필자가 주목한 것은 수려하게 조성된 자연경관이 아니라 옥인시범아파트였다. 1971년에 지어진 이 오래되고 낡은 아파트를 철거하는 과정에서 안평대군 사가(私家)의 옥류천에 놓인 다리로 추정되는 ‘기린교’가 발견되면서 현재의 수성동계곡을 복원하게 되었다. 그런데 아파트 일부분을 내부 골조 그대로 남겨 이곳에 들린 시민들에게 다시는 이런 과오를 범하지 말기를 당부하는 상징물로 보존하고 있었다. 지자체가 이 애물단지를 지역브랜드로 승화시켜 관광 상품으로 보존하는 것을 보고 이것이야말로 진정한 도시재생사업이 아닐까 생각했다.

국토교통부는 현재 3가지 가이드라인(인구감소, 산업체감소, 노후건축물)중 2개를 만족하면 쇠퇴 중에 있는 도시로 인정하고 공모를 통해 도시재생에 대한 국비를 지원한다. 국토부가 밝힌 도시쇠퇴현황을 보면 전국 3천740개 읍·면·동 중 2천239개(65%)가 쇠퇴 중에 있다. 그러나 지역마다 성격이 다르고 도시발전의 구조도 다르기 때문에 이 가이드라인이 쇠퇴도시를 규정하는 데 적절한지는 의문스럽다.

오늘날 세계인구의 절반이 도시에 살고 있다. 이런 도시화는 경제성장의 필수요소로 2030년경에는 세계인구의 60%가 도시에 거주할 것이라고 한다. 하지만 도시는 인간과 함께 생명력을 지니며 성장기와 쇠퇴기를 겪을 수밖에 없는 생태계이자 유기체다. 도시는 무한 성장하고 확장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수준에 다다르면 각종 문제로 쇠퇴징후를 보이고 인구감소, 경제기능축소, 주거시설 노후화 등을 수반한다.

경쟁력을 잃은 도시에 생명력을 불어넣기 위해 국토교통부는 2014년도부터 주민중심으로 도시재생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올해 초 마감한 선도 지역 공모에서 주민참여도가 가장 배점이 높은 이유도 그 때문이다. 하지만 필자는 전면적인 주민참여에는 회의적인 시각을 가지고 있다.

지금까지 관주도의 도시계획 및 도시개발 사업이 그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의 목소리에 귀를 기울이지 않았다는 지적은 나름 설득력이 있다. 하지만 아직 공무원과 주민 모두 도시재생이라는 단어조차 생소하기 그지없는 이 상황에서 관에게 무조건적인 주민참여를 강요하는 것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의문이다. 

도시재생 선도 지역으로 손꼽히는 곳에는 개인의 사리사욕을 모두 접고 지역공동체를 위해 발 벗고 나서는 독립투사와 같은 주민들이 꼭 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이런 주민을 만나기는 그리 쉽지 않다. 때문에 우선 주민공감부터 형성하는 게 중요하다. 도시쇠퇴문제를 지역거주민과 함께 고민함으로서 공동체 의식을 공유하게 해야 한다. 이를 위해 현재 전국 10개 지자체가 도시재생대학을 개설하고 있다. 도시재생은 도시를 재생하기 전에 사회구성원으로서의 개인의 재생이 전제돼야 한다고 보기 때문이다. 중구도 국비지원을 받아 구 단위로는 전국최초로 도시재생대학을 운영 중에 있다.

일부 지자체는 도시재생의 근본 목적보다 국비에 더 관심을 가지고 도시재생 사업을 펼치고 있다. 그러나 도시재생이란 물리적 도시개발 사업만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물리적 비중은 극히 일부일 뿐이고 사회적 재생으로 이어지고 승계되는 복지, 경제, 교육, 사회, 문화의 비중이 훨씬 더 크다. 따라서 도시의 장소적·사회적 재생이 맞물려 상호간 시너지효과를 발휘할 때 잠재된 내부로부터 새로운 가치를 창출해 낼 수 있는 것이다. 이런 도시구조야말로 진정한 창조도시이자 도시재생사업이 추구하는 본질이다.

<윤혜진 중구 창조도시기획단 단장>


정치
사회
경제
스포츠